강릉 버스 223

덤프버전 : (♥ 0)


>
강릉시
[ 시내버스 - 펼치기 · 접기 ]
[ 마실버스 - 펼치기 · 접기 ]




1. 노선 정보
2. 개요
3. 역사
4. 특징
4.1. 시간표
5. 연계 철도역



1. 노선 정보[편집]


파일:강릉시 CI_White.svg 강릉시 시내일반버스 223번·223-1번
[ 지도 노선도 보기 ]
파일:GN223_Map2.svg
기점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견소동(안목)종점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내곡동(가톨릭관동대학교)
종점
첫차07:16기점
첫차07:00
막차20:59막차21:39
운수사명동진버스배차간격평일 28회[1]
주말 27회[2]
노선안목 - 초당분수공원 - 경포고 - 하슬라중 - 포남1동주민센터 - 강릉경찰서 - 강릉축산농협 - 도시보건지소 - (→ 강릉역 →/← 강릉역건너편 ←) - 강릉농협 - (→ 교보생명 → 하나금융투자 →/← 신영극장 ←) - 용강동 - 삼개사입구 - 내곡교 - (← 삼창그린맨션 ←) - 강릉시보건소 - 하나로마트내곡점 - 내곡동주민센터 - 가톨릭관동대학교


2. 개요[편집]


강릉시시내버스 노선. 안목에서과 내곡동 가톨릭관동대학교 사이를 운행한다. 전체 정류장 목록


3. 역사[편집]


  • 구 23번이 전신이며, 2003년 4월 1일 개편 때 223번으로 변경되었다.

  • 강릉역 신 역사 준공에 따라 2018년 1월 29일부터 양 방향 모두 강릉역을 경유하게 되었다. 그리고 이 곳에서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차고지 방향만 223-1번으로 변경되었다. 차고지에서 출발하는 차량은 기존 번호 그대로 운행한다.

  • 2018년 11월 1일에 223번(관동대 행) 첫차가 6시 반에서 7시 12분(평일), 7시 16분(주말 및 공휴일)으로 늦춰졌고, 223-1번(안목 행)도 첫차가 6시 30분에서 7시(주말 및 공휴일), 7시 1분(평일)으로 늦춰졌다. 강릉시 공지사항

  • 코로나 19 이후로 평일은 기존 토요일 시간표대로, 주말/공휴일은 기존 시간표대로 그대로 운행한다.[3] 그러면서 막차가 1시간 가까이 당겨졌다.


4. 특징[편집]


  • 300번과 더불어 강릉에서 배차가 좋은 편에 속하는 노선이다.

  • 223번과 223-1번은 실질적으로는 같은 노선이지만 명목상으로는 별개의 노선이기 때문에 상호간 환승할인이 된다.[4][5]

  • 예전에는 관대선(220, 222, 223)과 대학선(200, 201, 203, 204, 205) 자체가 저상버스가 상시 투입되는 계통이었다. 그렇다보니 저상버스가 고정차로 운행했고 일부시간대는 저상버스, 평상시에는 대형버스가 들어가는 양상이었으나 2019년부터 전기버스가 확대되면서 그 여파를 받아 일부 시간대에는 중형버스가 투입되기도 한다.[6] 코로나 이후로 중형차가 주력이 됐으나 전기저상버스가 추가로 도입된 지금은 중형차가 다시 빠지면서 전기저상버스가 주력으로 바뀐 상태.[7]

  • 가톨릭관동대학교에서 강릉역까지 제시간에 맞춰 가려면 정각 이전에 오는 버스를 타야 한다. 정각 이후에 오는 버스는 10분 간 정차 후 가기 때문에 강릉역까지 KTX 출발 시간(매시 30분)에 맞춰서 절대 도착할 수 없다.


4.1. 시간표[편집]


강릉시 시내일반버스 223번 운행시간표
2020년 4월 2일 기준 / 출처
[ 시간표 펼치기 · 접기 ]


5. 연계 철도역[편집]


  • 일반 철도역: 강릉역 (KTX, 누리로, 바다열차, 동해산타열차)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1-10 06:08:41에 나무위키 강릉 버스 22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[1] 안목→관동대 28회, 관동대→안목 30회[2] 안목→관동대 27회, 관동대→안목 29회[3] 하단의 시간표는 안목발 한정이며, 관동대발은 없다.[4] 이건 가지번호가 붙는 다른 노선들도 동일하다.[5] 다만 기점(업체)가 달라도 노선 번호가 같으면 환승 불가이다. 300(동진). 300(동해)는 기점이 달라도 동일 노선 취급이다.[6] 남부선/대학선에서 다니던 오래된 대형차를 전기버스로 대차시켜서 103, 115, 300번대 같은 노선으로 보냈고 대학선에서 다니던 대형차 중에서 내구연한이 얼마 안 남은 차들이 예비차로 강등되었다. 그 과정에서 반대급부로 102, 115, 205, 312, 313 등지에서 다니던 중형차가 넘어왔다.[7] 12~13년식 중형버스와 운휴중이던 11~13년식 디젤저상버스가 대/폐차되어 관대선(220, 222, 223)번에 전기저상버스로 투입되었으며 커민스 엔진을 장착한 차량들의 결함으로 인해 중형버스의 빈도가 감소하기도 했다. 중형버스는 101, 104-1, 104-2, 200, 202, 202-1, 205, 211, 211-1, 504-1, 통학노선 등에서만 다닌다.

관련 문서